마의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의는 조선 후기, 조선 최초의 한방 외과의 백광현의 생애를 그린 드라마이다. 천민 출신 마의 백광현이 수의학을 거쳐 내의원 의관, 어의로 성장하며 한방 외과 분야를 개척하는 과정을 그린다. 조승우, 이요원, 손창민, 유선, 이상우 등이 출연하며, 2012년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이영 시나리오 작품 - 백만장자와 결혼하기
2005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백만장자와 결혼하기》는 가짜 백만장자 김영훈과 계모의 구박을 받는 한은영의 사랑 이야기와, 유진하 PD에 의해 백만장자로 포장된 김영훈이 리얼리티 쇼에 출연하며 벌어지는 사건들을 그린다. - 김이영 시나리오 작품 - 내 사랑 팥쥐
2002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내 사랑 팥쥐"는 한국 설화 《콩쥐팥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장나라, 김재원, 김래원, 홍은희 등이 출연하며, 팥쥐인 양송이와 콩쥐인 은희원의 뒤바뀐 캐릭터 설정과 그로 인한 갈등, 그리고 두 사람과 얽힌 남자 주인공들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 문화방송의 의학 드라마 - 허준 (드라마)
1999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허준》은 전광렬이 주인공을 맡아 조선 시대 명의 허준의 일대기를 다루었으며, 서자 출신으로 신분적 어려움을 겪었던 허준이 스승 유의태를 만나 의술에 정진하고 동의보감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최고 시청률 63.5%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어 2013년에는 《구암 허준》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하였다. - 문화방송의 의학 드라마 - 병원선 (드라마)
2017년 MBC 드라마 병원선은 의료 환경이 열악한 도서 지역에서 배를 타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들의 성장 이야기로, 하지원, 강민혁, 이서원 등이 출연하고 다양한 OST와 해외 방영으로 주목받았다. -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푸른 바다의 전설
푸른 바다의 전설은 2016년에 방영된 SBS 드라마로, 인어와 사기꾼의 로맨스를 다루며 전지현, 이민호 등이 출연하여 최고 시청률 20%를 넘기며 해외에도 수출되었다.
마의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의학 드라마 |
극본 | 김이영 |
연출 | 이병훈 최정규 |
주연 | 조승우 이요원 |
작곡가 | 김준석 정세린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채널 | MBC |
첫 방송 | 2012년 10월 1일 |
마지막 방송 | 2013년 3월 25일 |
방송 분량 | 70분 |
제작사 | 김종학 프로덕션 에이스토리 |
한국어 제목 | |
한글 | 마의 |
로마자 표기 | Ma-u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aŭi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Horse Doctor The Horse Healer |
2. 기획 의도
조선 후기 조선 현종 당시, 조선 최초의 한방 외과의(外科醫)로서 독보적인 종기치료로 "신의"(神醫)라는 호칭을 얻은 의관(醫官) '''백광현'''(白光玄, 1625~1697)의 생애와 심오한 의학세계를 드라마로 엮는다.[5]
목장에서 날뛰는 말을 순식간에 제압하는 이명환. 목장을 찾은 강도준은 말을 빠르게 치료하는 마의들을 보고 호기심을 느낀다. 왕실 의료기관이자 의생교육기관인 전의감에서 만나게 되는 강도준과 이명환. 전의감에는 대제학 대감의 장남으로 반가 출신인 강도준과 마의의 아들인 이명환에 대한 소문이 퍼진다.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천민 신분으로 마의(馬醫, 말을 돌보는 의사)에서 출발하여 명성을 얻고, 내의원 의관을 거쳐 어의가 된 백광현은 한방(韓方) 의학계에 최초로 "한방의 외과적 시술(外科的 施術)"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이름을 떨쳤다.[5]
백광현의 초기 의학 세계인 조선시대 가축 질병을 다룬 수의학은 인간 질병 치료와는 다른 새로운 내용을 보여준다. '병자가 있는 곳이면 어디라도 간다'는 그의 좌우명처럼,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평생 헌신한 백광현의 인술 휴머니즘은 오늘날의 의료 현실에 경종을 울린다.[5]
3. 주요 내용
12년 후, 외딴 섬에서 석구와 살아가는 백광현. 백광현은 도성에 가고 싶어 수차례 도전하지만, 석구의 극심한 반대에 매번 실패한다. 한편, 효종은 12년 전 소현세자의 죽음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재수사를 명한다.
고주만이 세상을 떠나고 그 뒤를 이어 수의 자리에 오른 이명환. 치종청의 현판을 내리고 그 자리에 특별시료청을 세우도록 명한다. 한편, 백광현의 죽음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백광현을 기다린다.
몇 년 후, 남장을 하고 전국적인 약계를 만든 강지녕. 영달이라는 이름으로 신분을 숨긴 채 활동한다. 한편, 사암과 소가영을 따라 청나라를 돌아다니며 병자들의 병을 돌보는 백광현. 사암은 항주 관아 부태수의 부름을 받고 백광현과 소가영과 함께 항주로 향한다.[5]
4. 등장인물
4. 1. 주요 인물
: 미천한 신분의 마의(馬醫)에서 어의(御醫)의 자리에까지 오른 조선 최초의 한방 외과의. 강도준의 친아들이며, 본명은 강광현이다. 마의에서 어의가 된 것은 역사적 사실이나, 그 외 설정은 허구(fiction)이다.
: 내의원(內醫院) 의관 강도준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노비 백석에게 길러졌다. 백석의 죽음 이후 목장에 의탁하여 마의(현재의 수의사)가 되었다. 이후 궁궐 의학생이 되어 수의(豎醫, 궁궐 의관을 통솔하는 의관) 고주만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나, 고주만의 부골저(화농성 골수염) 제거 수술에 실패하여 도성을 쫓겨났다.
: 도망 중 사암도인에게 가르침을 받고, 청나라에서 실력을 쌓은 뒤 조선으로 돌아와 오규태의 외과 수술을 성공시켜 특임으로 의관이 되었다. 이후 왕족을 외과 수술로 치료하는 등의 공적을 쌓아, 특임 의관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어의(왕의 주치의)로 왕명에 의해 임명되었다.
: 강지녕과는 소꿉친구이며, 생부 강도준과 양부 백석을 죽음에 이르게 한 이명환과는 적대 관계였다.[6]
: 천민 노비 석구 부부의 딸로 태어났으나, 부모의 은인 강도준이 역모 사건에 휘말려 죽게 되자, 은인의 아들 백광현을 살리기 위해 아버지 석구가 자신과 바꿔치기했다. 본명은 백지녕이다.
: 백광현의 소꿉친구로, 노비 백석의 딸로 태어났으나 백석이 은인 강도준의 아들 광현이 살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몰래 바꿔치기했다. 이후 이명환은 양반 강씨 가문을 이용하기 위해 강도준의 딸이라 생각한 지녕을 데려다 키웠다. 성장 후 혜민서(惠民署, 민중을 위한 국가 치료원)의 의녀가 되었다.
: 광현과 고주만이 퍼뜨리려 했던 외과 수술에 긍정적이며, 약값의 부당한 인상을 막으려 한 약계(藥契)라는 조직의 수장이 되는 등, 이명환과 달리 강도준과 같은 방향성을 가졌다. 광현이 의관이 된 후 함께 행동했다.
: 이명환의 아들 이성하와는 남매처럼 친하게 자랐다.[7]
: 강도준의 친구이자 장인주의 옛 연인. 이성하의 아버지이자 강지녕의 후견인. 광현의 친아버지와 지녕의 친아버지를 죽게 한 인물이다.
: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광현과 그를 돕는 사람들을 함정에 빠뜨리고, 정치적으로 짓밟으려는 악역이다. 그러나 작품 초반(광현이 태어나기 전)에는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그의 행적이 그려진다.
: 본래 마의의 아들로 태어나(광현과 마찬가지로 전직 마의) 집안에서 의술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나, 이를 아낀 생부에 의해 가문이 좋은 양반에게 양자로 보내졌다. 양가에서는 마의 출신임을 숨기도록 가르침받았고, 친가와는 다시 만나지 말라는 엄한 가르침을 받아, 고학 끝에 의학생이 되었다.
: 의학생이 된 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마의 출신"이라는 낙인이 따라다니며 학내에서 심한 차별을 받아, 자신의 출신을 부끄러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부의 죽음 직전과 장례식조차 참석하지 못했다.
: 의학생 시절 강도준, 장인주를 만나 우정을 쌓았으나, 소현세자의 죽음에 얽힌 음모에 휘말려 자신의 입장을 지키기 위해 기회주의를 선택한다. 의분에 찬 강도준을 막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친구의 몰살에 가담하여 양심의 굴레가 벗겨져 부와 권력을 지향하게 된다.
: 이후 내의원장을 거쳐 수의(내의원을 통솔하는 의관)가 되었다. 내의원 의관 시절 이현익(소현세자를 살해한 실행범)의 살해 현장을 본 백광현과 강지녕에게 추격자를 보내고, 그 도망으로 백석이 죽는 것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백광현을 함정에 빠뜨리거나, 스승 고주만에게 독을 쓰고, 보신을 위해 좌의정 정성조와 결탁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 고주만이 수의였을 때는 내의원장, 고주만이 죽은 후에는 삼의사(三醫司)의 수의가 되었다.
: 광현에 대해, 마찬가지로 전직 마의 출신이라는 점과 "자신이 의사가 되기 위해 버려온 것을 버리지 않고 의사가 된" 광현의 입장에 대한 질투심을 품고 있다. 이는 "전직 마의"라는 콤플렉스 때문이다.
: 혜민서의 의녀장. 광현과 지녕의 출생의 비밀을 모두 아는 인물. 한때 사암에게 가르침을 받아 사암을 "스승"으로 존경한다. 의학생 시절 침술에 뛰어나 "침의 귀신"이라 불렸다. 강도준이 살아있을 때 이명환을 포함하여 3명이 함께 행동했다.
: 소현세자의 죽음의 비밀을 알게 된 도준이 억울하게 몰살당했을 때, 죄인의 후계자는 연좌되어 죽게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도망자 신세였던 백석이 자신의 딸(지녕)과 도준의 아들(광현)을 바꿔치기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 본편에서는 광현과 지녕을 여러모로 신경 썼고, 명환과 적대했기 때문에 한때 의녀로 강등되었다.
: 이명환의 아들. 의학습독관, 후에 사헌부의 관리. 상냥하고 정의감 넘치는 청년으로, 어릴 적부터 함께 자란 지녕에게 은밀한 연정을 품고 있었다. 광현을 처음에는 경계했으나, 서서히 신뢰하게 되었다. 아버지 명환의 수상한 행동을 알아차리고, 몇 번이나 의견이 충돌한다. 명환의 행동을 좋게 생각하지 않지만, 일부 묵인한 것에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
: 조선의 제18대 왕. 인조의 손자이자 효종의 맏아들. 아버지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을 때 심양에서 태어났다.
: 효종의 넷째 딸이자 현종의 동생. 말괄량이에 개구쟁이 같은 기질을 숨기지 못하고 지녕 일행과 어울려 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 전 혜민서 수의. 이명환이 악행을 하지 않도록 설득하며 백광현에게 의생의 길을 열어준 정신적 지주이다.
: 삼의사의 수의. 강도준이 살아있을 때는 혜민서의 서장이었다. 다음 세대를 이끌 젊은 의사, 의학생, 광현과 지녕 등을 따뜻하게 지켜보며, 가난한 자도 병을 치료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
: 젊은 시절 강도준, 이명환, 장인주의 은사이며, 도준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항상 마음 아파하며 뉘우쳤다. 동시에 명환의 앞날도 걱정하여 올바른 길로 되돌리려 노력했지만, 권력욕에 사로잡힌 명환에게는 닿지 않았다.
: 머리에 생긴 부골저(화농성 골수염)로 쓰러져 광현이 외과 수술을 집도했으나, 수술 후 처치가 불충분하여 파상풍으로 사망했다. 파상풍 조짐이 보였을 때 왕(현종)에게 "절대 이 일로 아무도 벌하지 말아 달라"고 간청했다. 고주만의 죽음으로 광현은 조선에서 청나라로 도망치게 된다.
: 정성조의 며느리.
: 의생, 후에 혜민서의 의관. 고주만 전에 수의였던 아버지를 둔 윤 가문의 후계자로 광현의 친구. 임금의 치료에 공헌한 공적으로 판관으로 출세했다.
: 의생, 후에 혜민서의 의관. 인기 죽집 "무교탕반"의 안주인 주인옥의 아들로 광현의 친구. 털털한 태도는 어머니를 닮았고, 조금 소심한 면도 있지만 노력가이기도 하다. 광현에게도 의생 시절부터 친근하게 대해주었다.
: 사암의 제자이자, 후에 혜민서의 의녀. 남자 같은 옷차림과 말투를 한다. 완력도 남자 못지 않다. 청나라에 체류하던 중에 거리에서 만난 성하의 신사적인 태도와 잘생긴 외모에 '조각'이라고 부르며 첫눈에 반했다. 광현의 맏언니 격이지만, 광현이 사암의 가르침을 빨리 깨우쳐 버린 탓에 "백 형"이라고 부른다.
: 혜민서의 의관, 후에 혜민서의 서장. 세자의 치료에 실패한 명환이 방해하려 할 때 맞받아치는 등 강자에 굽히지 않는 인물. 고주만의 부하이며, 외과 치료에도 관심을 보였다.
: 광현의 생부. 양반의 아들이지만, 가난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의사가 되었다. 의학 생도 시절에 이명환, 장인주와 알게 되어 우정을 쌓았지만, 소현세자의 죽음에 얽힌 음모에 휘말린 명환에 의해 무고한 죄를 뒤집어쓰고 참수되었다.
4. 2. 왕실 인물
4. 3. 조정 인물
배역명 | 배우 | 배역 소개 |
---|---|---|
마의(말의) | 강기영한국어 | |
정성조 | 김창완한국어 | 좌의정. 파벌의 영수 |
강도준 | 전노민한국어 | 광현의 아버지 |
주인옥 | 최수린한국어 | |
인선왕후 | 김혜선한국어 | 현종의 어머니 |
추기배 | 이희도한국어 | |
오장박 | 맹상훈한국어 | |
자봉 | 안상태 | |
권석철 | 인교진한국어 | |
윤태주 | ||
박대망 | ||
조정철 | ||
신병하 | 신국 | |
곽상궁 | ||
마도흠 | ||
명성왕후 | 이가현한국어 | 현종의 왕비 |
사암 | 주진모 (1958년)|주진모한국어 | |
소가영 | 엄현경한국어 | |
백석구 | 박혁권한국어 | |
백석구의 아내 | 황영희한국어 | |
서두식 | 윤희석한국어 | 의금부의 장관 |
조비 | ||
홍미금 | ||
정말금 | 오인혜한국어 | |
강정두 | 서범식 | |
이명환 | 임채원 | |
박병주 | 나성균 | |
최가비 | ||
박은비 | 허이슬 | |
농부 | 유인석 | |
어의 | 한춘일 | |
어의 | ||
오규태 | 김호영 (배우)|김호영한국어 | 우의정 |
좌의정 | ||
규수 | 소향 | |
심문관 | 정동규 | |
지평 | ||
이명환의 계부 | 이종구 | |
어린 지녕의 친구 | 양한열한국어 | |
두목 | ||
의금부의 대감 | ||
변 | 신준영 | |
조선 관리 | ||
조선 관리 | 최은석 | |
조선 관리 | ||
조선 관리 | 박기산 | |
조선 관리 | ||
현종 | 한상진한국어 | 조선의 제18대 왕 |
숙휘공주 | 김소은한국어 | 현종의 여동생 |
명성왕후 | 이가현한국어 | 현종의 왕비 |
세자 | 강한별한국어 | 훗날 숙종 |
인선왕후 | 김혜선 (1969년)|김혜선한국어 | 효종의 왕비 |
인조 | 선우재덕한국어 | 소현세자와 효종의 아버지 |
효종 | 최덕문한국어 | 현종의 아버지 |
소현세자 | 정겨운한국어 | 효종의 형 |
정성조 | 김창완한국어 | 좌의정 |
오규태 | 김호영 (배우)|김호영한국어 | 우의정 |
서두식 | 윤희석한국어 | 서은서의 오빠 |
서은서 | 조보아한국어 | 정성조의 며느리 |
4. 4. 내의원, 사복시
- 인교진 - 권석철(權錫哲) 역: 전의감 교수. 소속 의생들이 혜민서 의생들에게 밀리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1]
- 한춘일 - 사복시 마의 역[7]
- 전헌태 - 사복시 마의 역[8]
- 서진욱 - 사복시 마의 역[9]
4. 5. 무교탕반, 기타 인물
- 최수린 - 주인옥(朱仁鈺) 역: 무교탕반 주인. 박대망의 어머니. 오장박의 부인.[1]
- 맹상훈 - 오장박(吳張半) 역: 어린 백광현의 스승. 무교탕반 숙수. 주인옥의 남편. 박대망의 의붓아버지.[1]
- 이희도 - 추기배(處基北) 역: 백광현의 정신적 후견인이자 부모같은 사람.[1]
- 안상태 - 자봉(子福) 역[1]
- 임채원 - 이명환의 처 역[1]
- 서범식 - 강정두(姜廷斗) 역: 이명환의 최측근.[1]
- 유인석 - 농장주 역[1]
- 신국 - 신병하 역[1]
- 이숙 - 최가비 역[1]
- 윤희석 - 서두식(徐斗植) 역: 서은서의 친오빠이자 이성하의 동기[1]
- 하은채 - 애종 역[1]
- 김결 - 절강성 부태수의 사위 역[1]
- 백민 - 배역 미상 역[1]
- 정윤석 - 수탉을 키우는 동생 역[1]
4. 6. 청나라 인물
5. 참고 사항
6. 수상
7. 시청률
아래는 TNmS와 AGB에서 조사한 시청률이다.[20][21] 최저 시청률은 파란색, 최고 시청률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다.
2012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 | AGB 시청률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스페셜 | 10월 1일 | 5.6% | 7.1% | 5.3% | 6.6% |
제1회 | 10월 1일 | 10.0% | 11.7% | 8.7% | 9.1% |
제2회 | 10월 2일 | 12.5% | 13.1% | 9.7% | 10.7% |
제3회 | 10월 8일 | 5.9% | 6.9% | 6.6% | 7.7% |
제4회 | 10월 9일 | 9.2% | 9.2% | 10.0% | 11.0% |
제5회 | 10월 15일 | 11.7% | 13.4% | 10.4% | 12.1% |
제6회 | 10월 16일 | 12.5% | 12.6% | 12.9% | 13.9% |
제7회 | 10월 22일 | 15.0% | 16.1% | 14.3% | 15.6% |
제8회 | 10월 23일 | 15.3% | 16.9% | 14.3% | 16.9% |
제9회 | 10월 29일 | 13.1% | 14.8% | 13.4% | 15.2% |
제10회 | 10월 30일 | 14.0% | 16.0% | 13.5% | 15.1% |
제11회 | 11월 5일 | 14.5% | 16.0% | 14.7% | 15.9% |
제12회 | 11월 6일 | 15.5% | 17.1% | 15.4% | 16.8% |
제13회 | 11월 12일 | 13.8% | 14.0% | 14.6% | 16.4% |
제14회 | 11월 13일 | 16.4% | 17.8% | 16.8% | 18.5% |
제15회 | 11월 19일 | 15.7% | 17.9% | 17.8% | 20.0% |
제16회 | 11월 20일 | 16.7% | 17.4% | 18.1% | 20.3% |
제17회 | 11월 26일 | 17.0% | 19.1% | 17.7% | 19.5% |
제18회 | 11월 27일 | 17.8% | 19.9% | 18.9% | 20.6% |
제19회 | 12월 3일 | 19.1% | 21.4% | 18.0% | 19.7% |
제20회 | 12월 4일 | 18.7% | 21.7% | 17.8% | 19.1% |
제21회 | 12월 10일 | 17.6% | 19.7% | 16.0% | 17.5% |
제22회 | 12월 11일 | 17.4% | 20.7% | 17.4% | 18.8% |
제23회 | 12월 17일 | 17.5% | 19.0% | 17.7% | 19.0% |
제24회 | 12월 18일 | 18.0% | 19.7% | 18.9% | 20.6% |
제25회 | 12월 24일 | 17.2% | 19.3% | 17.1% | 19.1% |
제26회 | 12월 25일 | 20.2% | 21.7% | 19.1% | 19.9% |
2013년 | |||||
제27회 | 1월 1일 | 18.1% | 20.0% | 18.1% | 19.4% |
제28회 | 1월 7일 | 18.3% | 20.7% | 16.6% | 17.7% |
제29회 | 1월 8일 | 20.3% | 22.1% | 18.3% | 19.7% |
제30회 | 1월 14일 | 18.9% | 21.1% | 18.1% | 19.5% |
제31회 | 1월 15일 | 20.5% | 23.0% | 19.2% | 20.4% |
제32회 | 1월 21일 | 19.4% | 21.3% | 20.1% | 21.8% |
제33회 | 1월 22일 | 20.7% | 22.9% | 20.0% | 21.4% |
제34회 | 1월 28일 | 19.4% | 22.2% | 18.4% | 20.1% |
제35회 | 1월 29일 | 21.5% | 24.4% | 21.0% | 22.5% |
제36회 | 2월 4일 | 22.8% | 24.8% | 22.4% | 24.2% |
제37회 | 2월 5일 | 24.2% | 26.7% | 23.7% | 25.8% |
제38회 | 2월 11일 | 20.8% | 24.1% | 19.3% | 20.7% |
제39회 | 2월 12일 | 19.5% | 22.2% | 20.3% | 22.7% |
제40회 | 2월 18일 | 21.2% | 24.1% | 19.4% | 21.4% |
제41회 | 2월 19일 | 19.7% | 22.5% | 18.1% | 19.0% |
제42회 | 2월 25일 | 20.6% | 23.3% | 19.6% | 22.0% |
제43회 | 2월 26일 | 20.0% | 21.5% | 19.7% | 21.9% |
제44회 | 3월 4일 | 18.4% | 20.6% | 18.4% | 20.6% |
제45회 | 3월 5일 | 18.8% | 20.5% | 18.5% | 20.4% |
제46회 | 3월 11일 | 19.6% | 21.7% | 18.8% | 20.6% |
제47회 | 3월 12일 | 18.9% | 21.0% | 19.4% | 21.4% |
제48회 | 3월 18일 | 18.0% | 20.5% | 18.8% | 20.9% |
제49회 | 3월 19일 | 17.9% | 19.6% | 19.1% | 21.1% |
제50회 | 3월 25일 | 17.2% | 18.4% | 17.8% | 20.2% |
참조
[1]
웹사이트
The King's Doctor, Cho Seung-woo's Drama Posters
http://content.mbc.c[...]
2012-11-11
[2]
웹사이트
Dramas Shot in Dramia
http://withmbc.imbc.[...]
2014-01-12
[3]
웹사이트
Historical fantasies a passing fancy?
http://nwww.koreaher[...]
2012-11-25
[4]
웹사이트
Cho Seung-woo to make small screen debut in ''Jewel in the Palace'' director's next series
http://www.asiae.co.[...]
2012-11-18
[5]
웹사이트
Jo Seung-woo to star in MBC historical drama
https://www.koreatim[...]
2012-11-18
[6]
웹사이트
Star of screen, stage accepts drama challenge
https://web.archive.[...]
2012-11-18
[7]
웹사이트
''Horse Doctor'' Lee Yo Won talks about her relationship with Cho Seung Woo
http://en.starnnews.[...]
2012-11-18
[8]
웹사이트
TNMS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2-10-01
[9]
웹사이트
AGB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2-10-01
[10]
웹사이트
Big Winners of 2012 Announced at Drama Awards Ceremonies of Major Broadcasters
https://web.archive.[...]
2014-02-01
[11]
웹사이트
'King's Doctor' to air in Japan
http://www.koreahera[...]
2014-03-24
[12]
웹사이트
'Horse Doctor' to Air in Japan and Other Asian Countries
http://mwave.interes[...]
2014-03-24
[13]
웹사이트
馬医 - NHKネットクラブ
https://hh.pid.nhk.o[...]
[14]
웹사이트
青木強 - Twitter
https://twitter.com/[...]
[15]
웹사이트
馬医|声優★甲斐田裕子のオフィシャルブログ - ameba
https://ameblo.jp/yu[...]
[16]
웹사이트
安永亜季 - スターダス・21
http://stardas21.com[...]
[17]
웹사이트
SBS「野王」、MBC「馬医」抑え同時間帯視聴率1位に-韓国ドラマ
https://s.wowkorea.j[...]
wowKorea
2020-11-27
[18]
웹사이트
조승우, 첫 드라마 '마의'로 대상 수상(종합)
http://entertain.nav[...]
[19]
웹인용
'마의' 100배 즐기기, 10월 1일 방송
https://entertain.na[...]
2012-09-26
[20]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https://web.archive.[...]
2012-11-12
[21]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s://web.archive.[...]
201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